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회고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회고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9)
    • Programming (34)
      • PHP (2)
      • Javascript (9)
      • React (5)
      • Algorithm (15)
      • Next.js (1)
    • Web (2)
      • HTML (0)
      • CSS (0)
    • Development Tools • Systems (8)
      • CLI (명령 줄 인터페이스) (2)
      • Git (버전 관리 시스템) (4)
      • FIgma(디자인 시스템) (0)
    • Developemnt Environment (2)
      • Node.js (JS runtime) (0)
      • Visual Code (IDE) (2)
    • Markup (1)
    • 기타 (1)
      • 운전면허 (1)
      • TiL (0)
  • 방명록

2025/04/20 (1)
[알고리즘] Big-O 표기법 : 공간복잡도

이전 글에서는, 빅오 표기법의 시간 복잡도에 대해 설명했다. 알고리즘들이 얼마나 빨리 실행되는지, 그 시간을 검사하는 척도가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이다. 이제는 시간 대신에 공간, 사용되는 메모리를 주목해보자.공간 복잡도(auxiliary space complexity)입력을 제외하고, 알고리즘 자체에서 요구되는 공간을 의미한다.공간 복잡도 특징boolean, 숫자형, undefined, null은 js에서 변하지 않는 공간이다. 1과 1000이라고 해도, 차지하는 공간은 같다.문자열은 O(n)공간이 필요하다. 문자열은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 차지하는 공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참조 타입, 배열, 객체도 대부분 O(n)공간이 필요하다.Example.1 function sum(arr){ ..

카테고리 없음 2025. 4. 20. 22:2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